나와 학문/철학

철학 필독서

골든이글12 2007. 10. 9. 14:10

 

꼭 읽어야 할 철학고전

 

 

고대철학

 

플라톤,『소크라테스의 변명, 크리톤, 향연, 파이돈』 박병덕 역, 육문사

______,『 향연 - 사랑에 관하여』, 박희영 역, 문학과 지성사, 

______, 『소피스테스』, 김태경 역, 한길사, 

______, 『국가 (정체)』박종현 역, 서광사, 

______, 『티마이오스』, 박종현/김영균 역, 서광사, 

 

아리스토텔레스, 『영혼에 관하여』, 유원기 역, 궁리, 

______________, 『니코마코스 윤리학』, 최명관 역, 

______________, 『시학』, 천병희 역, 문예출판사, 

______________, 『소피스트적 논박』, 김재홍 역, 

 

 

 

 

중세철학

 

아우구스티누스, 『고백록』, 김기찬 역, 현대지성사, 

______________, 『하나님의 도성』, 크리스챤다이제스트, 

______________, 『신국론』(1-3), 성염 역, 분도출판사, 

______________, 『삼위일체론』, 크리스챤다이제스트, 

______________, 『기독교교육론』, 크리스챤다이제스트, 

______________, 『자유의지론』, 성염 역, 분도출판사, 

 

안셀무스,『모노로기온 & 프로스로기온』, 아카넷, 

 

토마스 아퀴나스,『인간의 사고』, 서광사, 

_______________,『신학대전』, (1, 3, 4, 5, 6, 10, 16권) 정의채외 역, 바오로딸 

토마스 아켐피스, 『그리스도를 본받아』, 크리스챤다이제스트

 

마르틴 루터,『로마서 주석』, 박문재 역, 크리스챤다이제스트

 

존 칼빈, 『칼빈의 이사야 설교』, 솔로몬

_______, 『그리스도의 구속사역』, 엄성옥 역, 은성

_______, 『기독교강요』(상, 중,하), 크리스챤다이제스트,

 

 

 

 

근대의 합리론과 경험론

 

프랜시스 베이컨, 『새로운 아틀란티스』, 김종갑 역, 에코리브르

_______________, 『학문의 진보』, 이종흡 역, 아카넷

 

쟘바티스타 비코, 『이탈리아 태고의 지혜』, 이원두 역, 동문선

_______________, 『새로운 학문』, 동문선

 

르네 데카르트, 『방법서설: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』, 문예출판사

_____________, 『성찰』, 이현복 역, 문예출판사

_____________, 『철학의 원리』, 원석영 역

 

몽테뉴,『몽테뉴 수상록』, 혜원출판사,

 

파스칼, 『팡세』, 김형길 역, 서울대학교 출판부

 

몽테스키외,『법의 정신』, 이명성 역, 홍신문화사

__________, 『페르시아인의 편지』, 이수지 역, 다른 세상

 

스피노자,『에티카』, 서광사

________,『신학-정치론』, 김호경 역, 책세상

________,『국가론』, 김성근 역, 서문당

 

라이프니츠,『철학자의 고백』, 배선복, 울산대학교 출판부

 

존 로크, 『시민정부론』, 연세대학교 출판부

 

버클리, 『하일라스와 필로누스가 나눈 대화 세 마당』, 한석환 역, 숭실대 출판부

 

데이비드 흄, 『정념에 관하여』, 이준호 역, 서광사

___________, 『자연종교에 관한 대화』, 울산대학교 출판부

___________, 『종교의 자연사』, 이태하 역, 아카넷,

___________, 『기적에 관하여』, 이태하 역

 

 

 

 

사회철학

 

장 자크 루소, 『사회계약론』, 서울대학교 출판부

____________, 『인간불평등 기원론』, 주경복 역, 책세상

____________, 『에밀』, 김중현 역, 한길사

 

볼테르, 『관용론』, 송기형/임미경, 역, 한길사

 

존 스튜어트 밀, 『자유론』, 홍신문화사

______________, 『공리주의』, 이을상/김수청 역, 이문출판사

______________, 『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』, 서광사

 

아담 스미스, 『국부론』(Tape), 자유기업센터

 

토크빌, 『미국의 민주주의』(1, 2), 박지동, 임효선 역

 

 

 

 

언어 철학

 

헤르더, 『언어의 기원에 대하여』, 조경식 역, 한길사,

______, 『인류의 역사철학에 대한 이념』, 책세상

 

 

 

 

독일의 관념론

 

칸트, 『순수이성비판』, 최재희 역, 박영사,

____, 『순수이성비판 서문』, 김석수 역, 책세상,

____, 『실천이성비판』, 백종현 역, 아카넷,

____, 『도덕 형이상학을 위한 기초놓기』, 이원봉 역, 책세상,

____, 『이성의 한계 내에서의 종교』, 신옥희 역, 이화여대 출판부,

 

피히테,『독일 국민에게 고함』, 범우사,

____, 『인간의 사명』, 한자경 역, 서광사 ,

____, 『학자의 사명에 관한 몇 차례의 강의』, 서정혁 역, 책세상,

셸링, 『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』, 한자경 역, 서광사,

____, 『인간의 자유의 본질 외』최신한 역, 한길사,

____, 『조형미술과 자연의 관계』, 심철민 역, 책세상,

 

헤겔, 『믿음과 지식』, 황설중 역, 아카넷,

____, 『정신현상학』, 임석진 역, 분도출판사

____, 『논리학 서론,/철학백과 서론』, 김소영 역, 책세상,

____, 『행성궤도론』, 박병기 역, 책세상,

____, 『자연법』, 김준수 역, 한길사,

____, 『법철학1: 서문과 서론』사람생각,

____, 『철학사1』, 지식산업사,

____, 『종교철학』, 지식산업사,

 

 

슐라이어마허, 『종교론』, 최신한 역, 대한기독교출판사,

____________, 『해석학과 비평』, 철학과 현실사,

____________, 『성탄축제』, 최신한 역, 문학사상사,

 

딜타이, 『체험, 표현, 이해』, 이한우 역, 책세상,

 

하인리히 리케르트, 『문화과학과 자연과학』, 책세상,

 

야콥 부르크하르트, 『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』, 안인희 역, 푸른숲,

_________________, 『세계사적 성찰』, 이상신 역,

 

 

 

 

실존 철학

 

키에르케고르, 『유혹자의 일기』, 임규정/연희원 역, 한길사,

____________,『이것이냐, 저것이냐』, 혜원출판사,

____________,『불안의 개념』, 홍신문화사,

____________,『철학적 조각들』, 집문당,

____________,『죽음에 이르는 병』, 최천석 역, 민성사

 

프리드리히 니체,『언어의 기원에 관하여 외』, 김기선 역, 전집 1, 책세상,

____________,『비극적 사유의 탄생』, 이진우 역, 문예출판사,

____________,『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』(1, 2), 김미기 역, 전집 7, 8,

____________,『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』, 전집 13, 책세상,

____________,『아침놀』, 박찬국 역, 전집 10, 책세상, 20000

____________,『선악의 저편, 도덕의 계보』, 김정현 역, 전집 14, 책세상,

____________,『바그너의 경우, 우상의황혼, 안티크리스트 외』, 전집 15, 책세상,

 

루드비히 포이어바하, 『기독교의 본질』까치글방,

 

 

 

 

유물론

 

칼 마르크스,『데모크리투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』, 고병권 역, 그린비,

___________/엥겔스,『공산당 선언』, 이진우 역, 책세상,

___________,『독일 이데올로기1』, 김대웅 역, 청년사

___________,『정치경제학 비판 요강』(1, 2), 김호균 역, 백의,

___________,『자본론1』(상, 하), 김수행 역, 비봉출판사,

 

레닌,『유물론과 경험비판론』(상, 하), 돌베게,

 

찰스 다윈, 『종의 기원』(1, 2), 박동현 역, 신원문화사,

 

막스 베버, 『유교와 도교』, 문예출판사,

경제와 사회 1』,박성환 역, 문학과지성사,

, 『직업으로서의 학문, 정치』, 범우사,

, 『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』, 박성수 역, 문예출판사,

 

하이에크,『자본주의냐 사회주의냐』, 문예출판사,

 

 

 

분석철학

 

알프레드 화이트헤드, 『과정과 실재』, 오영환 역, 민음사,

, 『사고의 양태』, 오영환 외 역, 다산글방,

, 『형성과정에 있는 종교』, 정강길 역, 동과서,

, 『상징활동 그 의미와 효과』, 문창옥 역, 동과서,

, 『교육의 목적』, 오영환 역, 궁리,

, 『이성의 기능』, 김용옥 역, 통나무,

 

버트란트 러셀, 『게으름에 대한 찬양』, 사회평론,

, 『종교는 필요한가』, 이종황 역, 범우사,

, 『철학의 문제들』, 박영태 역, 이학사,

, 『러셀 자서전』(상, 하), 송은경 역, 사회평론

,『수리철학의 기초』, 임정대 역, 경문사,

,『권력』, 안정효 역, 열린책들,

 

비트겐슈타인, 『수학의 기초에 관한 고찰』, 박정일 역, 서광사,

, 『철학적 탐구』, 서광사,

 

 

 

심리학

 

프로이트, 『문명 속의 불만』 , 김석희 역, 열린책들,

, 『종교의 기원』, 이윤기 역, 열린책들,

, 『예술, 문학, 정신분석』, 정장진 역, 열린책들,

, 『정신분석 강의』, 임홍빈, 홍혜경 역, 열린책들,

, 『새로운 정신분석 강의』, 임홍빈, 홍혜경 역, 열린책들,

, 『꿈의 해석』 , 김인순 역, 열린책들,

, 『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』, 이한우 역, 열린책들,

, 『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』, 김정일 역, 열린책들,

, 『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』, 윤희기 역, 열린책들,

 

칼 구스타프 융, 『정신요법의 기본문제』, 솔출판사,

, 『심리학과 종교』, 이은봉 역, 창,

, 『자연의 해석과 정신』, 이창일 외 역, 청계,

, 『원형과 무의식』,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, 솔출판사,

, 『인격과 전이』,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, 솔출판사,

, 『인간과 문화』,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, 솔출판사,

, 『인간과 상징』, 이윤기 역, 열린책들,

 

 

 

역사

 

아놀드 토인비, 『역사의 연구』(1,2), 박광순 역, 범우사,

, 『미래를 살다』, 최혁순 역, 문예출판사,

, 『토인비의 역사기행』, 송운하 역, 백암,

 

마르크 블로크, 『봉건사회』(1,2), 한정숙 역, 한길사,

, 『서양의 장원제』,이기영 역, 까치글방,

, 『역사를 위한 변명』, 고봉만 역, 한길사,

 

뤼시엥 페브르, 『16세기의 무신앙 문제』, 김응종 역, 문학과 지성사,

 

조르주 뒤비, 『천년, 그 세기말의 징후』, 강일휴 역, 교보문고,

 

폴 벤느,『역사를 어떻게 쓰는가』, 이상길/김현경 역, 새물결,

 

 

 

 

현상학과 해석학

 

에드문트 후설, 『시간의식』, 이종훈 역, 한길사,

, 『현상학의 이념』, 이영호/이종훈 역, 서광사,

,『데카르트적 성찰』, 이종훈 역, 한길사,

,『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, 최경호 역, 문학과 지성사,

,『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』, 한길사,

 

마르틴 하이데거, 『셸링』, 최상욱 역, 동문선,

, 『칸트와 형이상학의 문제』, 이선일 역,

, 『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』, 이기상 외 역, 까치글방,

, 『존재와 시간』, 이기상 역, 까치글방,

 

한스 게오르그 가다머, 『진리와 방법 1』 이길우 역, 문학동네,

 

폴 리쾨르, 『시간과 이야기』(1,2,3) , 김한식/이경래 역, 문학과지성사,

, 『해석의 갈등』, 양명수 역, 아카넷,

, 『텍스트에서 행동으로』, 박병수, 남기영 엮어 역, 아카넷,

, 『역사와 진리』, 박건택 역, 솔로몬,

, 『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』, 윤철호 역, 서광사,

, 『악의 상징』, 양명수 역, 문학과 지성사,

 

 

 

 

과학철학

 

칼 포퍼, 『과학적 발견의 논리』, 박우석 역, 고려원

, 『추측과 논박 1』, 이한국 역, 민음사,

, 『열린사회와 그 적들』(1, 2), 민음사,

, 『현대과학철학 논쟁』, 조승욱/김동식 역, 아르케,

 

토머스 쿤 『과학혁명의 구조』, 까치글방,

 

 

 

프랑스 철학

 

장 폴 사르트르, 『방법의 탐구』, 현대미학사,

, 『문학이란 무엇인가』, 정명환, 민음사,

, 『지식인을 위한 변명』, 종영훈 역, 한마당,

, 『구토』, 방 곤 역, 문예출판사,

, 『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』, 문예출판사,

 

알베르 카뮈, 『행복한 죽음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, 『시지프 신화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, 『적지와 왕국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 ,

『페스트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, 『칼리굴라, 오해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, 『안과 겉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, 『이방인』, 박용철 역, 도로시

, 『반항하는 인간』, 김화영 역, 책세상,

 

아도르노, 『부정변증법』,한길사,

, 『계몽의 변증법』,김유동 역, 문학과지성사,

 

하버마스, 『현대성의 새로운 지평』, 나남

________, 『탈 형이상학적 사유』,이진우 역, 문예출판사,

________, 『도덕의식과 소통적 행위』, 나남, 8,000

________, 『사실성과 타당성』, 박영도 외 역, 나남,

________, 『공론장의 구조변동』, 한승완 역, 나남,

________, 『인간이라는 자연의 미래』, 장은주 역, 나남,

 

에르빈 파노프스키,『도상해석학 연구』, 이한순 역, 시공사,

 

 

 

미학

 

하인리히 뵐플린, 『미술사의 기초개념』, 박지형 역, 시공사,

_____________, 『르네상스의 미술』, 안인희 역, 휴머니스트,

 

타타르키비츠, 『미학의 기본개념사』, 손효주 역, 미술문화,

 

먼로 비어슬리, 『미학사』, 이론과 실천, 15000

 

E. H. 곰브리치, 『서양미술사』, 백승길 외 역, 예경,

____________, 『예술과 환영』, 차미례 역, 열화당,

 

우도 쿨터만, 『미술사의 역사』, 김수현 역, 문예출판사,

 

아서 단토, 『예술의 종말 이후』, 이성훈/김광우 역, 미술문화, 

 

한스 로크마커, 『현대예술과 문화의 죽음』, 김유리 역, IVP,